<aside>
💡
[17:00 ~ 17:30] 류현소
</aside>
- 매주 목요일 진행하는 2분 발표에 대한 주제 선정의 고민
- 꼭 공부한 내용에서 해야하나?
- 그런 것은 아니지만 취지는 공부했던 내용을 돌아보자는 취지에서 진행하는 것
- 다른 주제를 하는 것은 부가적인 요소로 추가하는 것이 좋아보임
- e.g., RB Tree를 공부할 때 ~~ 툴을 사용한 경험 공유
- 기술적인 부분들에 대한 토론 / 토의가 기수 내에서 진행되었으면 좋겠음
- 좋은 고민이지만 지금 할 내용은 아닌 것으로 보임
- 트렌드는 언제든 바뀔 수 있고 배울 수 있음
- 현재에 집중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최선
- 이러한 토론과 토의는 나만무가 끝나고 혹은 그 이후에 진행해도 좋아보임
- 코어 타임에 대한 고민 : 회사처럼? 혹은 스터디처럼?
- 정글에서 정의하는 코어타임은 스터디 성격임
- 배운 것, 공부한 것을 서로 공유하고 팀원들과 토론 / 토의해보는 것이 좋음
- 회사에서 정의하는 코어타임은 정글에서는 사실 항시 지켜야하는 것에 가까움
- 팀원들끼리 To-Do를 공유하고, 매일매일을 회고하는 것이 좋은가?
- 우리가 해보지 않은 것들의 목표치를 정한다는 것은 사실 쉽지 않음
- 때문에 To-Do를 정하는 것도 좋지만, 오히려 주객전도 될 수 있음
- To-Do를 지키려고 하는 강박에 오히려 제대로 공부하지 않고 목표치를 달성하는 것에 집중하게 되면 주객이 전도됨
- 다만, 팀원들끼리 하루의 스크럼을 진행하는 것은 괜찮아보임
- 하루하루 어떤 공부를 할 것인지 / 혹은 어떤 공부를 했는지에 대한 회고를 매일 진행해보는 것에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
<aside>
💡
[17:30 ~ 18:00] 장윤호님 / 안준님 / 정성원님
</aside>
- [안준님] RB트리 관련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의 피드백
- "공부를 하는 것 / 공부를 하기 위한 설정을 하는 것" 을 명확히 구분할 필요성이 있음
- 우리가 공부를 할 때라면 고민을 해보고 스스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중요할 수 있지만,
- 공부를 하기 위한 과정까지 문제가 되는 것은 스스럼없이 물어보고 빠르게 해결하는 것이 좋음
- [장윤호님] 정글이 끝난 이후 어떤 것을 해야할지 고민 (진로 / 포지션 등등)
- 제가 요 답변은 사실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ㅜㅜ:sad:
- [정성원님] 정글에서 공부한 지식들이 나가서도 유지될지 확신이 없음
- 일단은 지금 하는 것에 집중을 하는 것이 최우선
- 기억이 안나는 것에 두려움을 느낄 필요는 없음
- 사실 한번 공부해본 내용이라면, 다시 살펴보면 금방 기억이 되돌아옴
- 그러니 기억이 사라진다는 것에 두려움을 갖는 것보단,
- 나가서 다시 보면 되니 현재에 집중 & 공부하는 습관을 잡아가는 것, 빠르게 학습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더 중요